스펙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배터리(이차전지) 자격증 취득과 스펙, 딥한 전지 공부에 관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이차전지 분야로 취업 시 자격증 취득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화학공학과 4학년 재학 중에 있으며 품질경영기사나 화학분석기사 생각 중입니다. 시간이 없다면 둘 중에 어떤 자격증이 현업에 더 도움이 될지도 궁금합니다. 토익 점수 준비되어 있을 시에 토스/오픽 등 스피킹 성적도 추가로 필요할지 궁금합니다. 품질, 공정, 설비 직무의 이차전지 분야 업무 강도와 현업에서 사용하는 분석기기 또는 시뮬레이션이나 데이터 프로그램 등이 궁금합니다. 또 이차전지를 좀 더 딥하게 공부하라는 답변들이 많이 보이는데 현재 전지 구성(양극,음극,분리막,전해질)과 대표 소재들, 공정(믹싱,코팅,슬리팅 ….) 등에 대한 기본적인 공부는 완료되어 있는 상태인데 어떤식으로 더 딥하게 공부해야 할지 감이 안옵니다. 현업에서 사용되는 더 딥한 전문 용어들이나 더 면밀히 공부해야될 소재나 이론, 공정 등 하나만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2024.11.07
답변 2
- CareerArchitectLG에너지솔루션코사장 ∙ 채택률 89%
채택된 답변
품질경영기사가 더 도움이 됩니다. 제품은 양산되어 생산이 되고, 품질을 높여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인 산업의 흐름입니다. 특히 중국업체와 경쟁하는 포지션을 가진 삼성SDI, SK ON, 엘지에너지솔루션 국내 3사는 가격이 좀 더 비싸도 품질에 투자하는 기업입니다. 삼성계열사는 오픽 AL(최소 IH)가 요구되며, IH일 경우 매년 시험을 봐야합니다. 엘지에너지솔루션은 IH이상이 필수입니다. SK ON은 필수요건은 없지만 IM3~IH 정도가 평균적입니다. 토익스피킹점수가 필요합니다. 분석기기에 대한 정보는 대외비라 자세히 말씀드릴 수 없으나, 식스시그마와 미니탭 정도를 다루실 수 있으면 신입지원 수준에서 충분합니다. 더 딥하게 공부하실 때에는 젤리롤 생성과정과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공정을 공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방안이 여러가지 나와있고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함께 읽은 질문
Q. 취준 중 멘탈 관리
안녕하세요. 막학기에 취준중인 4-2학생입니다. 처음 취준을 준비하면서 오는 낯섬과 취업이 너무 어렵다는 말을 듣는 상황에서 과연 내가 붙을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아직 서류를 제출하는 상황이고 발표도 나지 않았는데 벌써부터 스트레스를 받는데, 결과가 나온 후에는 얼마나 멘탈이 깨질까 상상도 안됩니다. 일단은 취준 기간을 1년 반으로 잡았는데, 현직자님들은 어떻게 취준 기간동안 멘탈을 붙잡으셨는지 궁금합니다.. 긴 시간동안 해야해서 운동을 일주일에 3회이상하는데도, 멘탈이 그렇게 잡히지가 않네요.
Q. 안전관리자 첫직장 선택
산업안전기사 취득 후 이번에 대학병원 안전관리자(기간제) 와 유지보수,기계설비회사 안전관리자 두곳에 합격하였습니다. 근데 우선 건설회사는 안전관리 서류업무 위주와 그외 공무,기성서류 등을 작성할거 같아서 주 업무인 안전관리를 제대로 할 수 있을지..의문입니다. 또한 병원은 총무팀 소속으로 어떤 분위기인지는 모르는 상태이고.. 이 두곳 중 어느 곳을 가는게 좋을까요? 너무 고민이 됩니다.
Q. 기계공학과 산업, 직무 질문
안녕하세요! 기계공학과 3학년 1학기 재직중인 기계공학과 학생입니다! 현재 진로에 대해 많은 관심이 있는데 선배님들은 진로를 정할 시기에 산업 및 직무에 대한 정보를 어디서 또는 어떤 방법으로 찾으셨는지 궁금해 질문 올려봅니다!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